##1901
@@ UTP Cable
'Unshielded Twisted Pair Cable'의 줄임말로 ‘절연체로 감싸여 있지 않은 두가닥씩 꼬여있다.' 는 의미이다
https://brunch.co.kr/@mascott/17
https://blog.lael.be/post/50
##1123
@@ memory MHz pc
삼성전자 DDR4 memory PC4-19200 (정품) 등 PC 뒤에 뜻
--> 19200 / 8 = 2,400 MHz
--> 21300 / 8 / 2,666 MHZ
DDR → DDR2 → DDR3 → DDR4
성능 순
DDR < DDR2 < DDR3 < DDR4
| DDR2 | DDR3 | DDR4 | DDR5 |
출시년도 | 2003년 | 2007년 | 2014~15년 | 2019년 출시예정 |
전력 | 1.8V | 1.5V | 1.2V | 아직 정보 없음 |
소비전력 비교 |
| DDR2보다 약 20%적음 | DDR3보다 약 20%적음 |
|
전송속도 (GHz/s) | 533~800 | 800~2133 | 2133~3200 | 아직 정보 없음 |
전송 속도 비교 |
| DDR2보다 최대 4배 높음 | DDR3보다 최대 4배 높음 |
|
단일 최대 용량 | 128MB ~ 4GB | 512MB ~ 8GB | 2GB ~ 16GB | 아직 정보 없음 |
##0211
@@ 디스크 / disk / 하드디스크 hard disk
1. 연결 방식 (인터페이스)
1) IDE : Integrated Drive Electronics / IDE drives are also known as PATA divers (Parallel Advanced Technology Attachment)
- 40핀으로 구성된 저장 장치 연결 방식. PATA 라는 명칭도 사용 된다.
- 평균 전송속도 133.3MB/sec
- 필자는 PATA라고 부르면 모르는 사람이 간혹 있어 IDE 디스크라 부른다.
2) SATA : Serial Advanced Technology Attachment
- IDE(PATA) 를 대체 하기 위해 생겨난 저장 장치 연결 방식. PATA 의 40핀을 소형화한 연결 방식.
- SATA 컨트롤러는 SAS 하드디스크를 사용할 수 없다.
- 평균 전송 속도 SATA1 : 150MB/sec | SATA2 : 300MB/sec
- SATA2 에서는 PC를 끄지 않고 장치를 연결 할 수 있는 핫플러그 기능이 추가 됨.
3) SCSI : Small Computer System Interface. SCSI is pronounced as scuzzy.
- SCSI 연결방식은 스카시 또는 스커지라고 발음 한다.
- 서버에 사용되는 HDD 연결 용으로, IDC 연결 방식에 비해 성능이 뛰어 난다.
- 가격대가 높아 일반 개인용으로 사용되지 않고 있었지만, 최근 개인 용도로 많이 사용 되고 있다.
- 평균 전송속도 640MB/sec 를 지원한다.
4) SAS : Serial Attached SCSI
- SCSI 규격의 일종이며, 지금까지 사용 되었던 패러럴(병렬) 방식의 전송 규격을 시리얼 화 시킨 것을 말한다.
- 서버용 HDD 접속에 많이 사용되며, 개인 컴퓨터용으로는 SAS 보다 SATA 가 더 많이 사용 되고 있다.
- SAS 3.0 버전의 평균 전송속도는 12GB/sec 를 지원한다
- SAS 컨트롤러는 SATA 하드디스크를 사용 할 수 있다.

[SATA & SAS 비교]

[PATA(IDE) & SATA 비교]

[SCSI Interface/Connector]

2. HDD 와 SSD 의 차이 점
SSD( Solid-state drive )는 사용 법이 HDD 와 비슷한 플래시 메모리 하드웨어의 한 종류이다.
1) 원반형 자기 기록 방식인 HDD(하드디스크 드라이브) 와 SSD 를 비교
- 반도체 소자를 사용 했기 때문에 구동음이 없다.
- HDD 는 원반이 회전하기 때문에 상시 전력이 필요하지만, SSD 는 데이터 엑세스 시에만 전력을 이용하기 때문에 저 전력, 저 발열이다.
- 물리적인 구동 부분이 없기 때문에 데이터 Access 중에 진동이나 충격이 있을 경우에도 별 영향을 받지 않는다.
- HDD 는 원판과 자기 헤드가 인접하여 설치 되어 더욱 기구를 밀봉 할 필요가 있지만, SSD 는 플래시 메모리 칩을 기판 위에 직접 배치 할 수 있기 때문에 PC 내부의 설계 자유도가 뛰어나다. 그때문에 PC를 소형화/ 경량화 하는데 적합하다.
- HDD 와 같은 탐색 시간이 없기 때문에 랜덤 Access 성능이 우수하며, 여러개의 메모리 칩에 대해 병렬 엑세스 가능하며 칩 탑재량을 늘리면 엑세스 속도가 향상 된다.
- 2.5 인치 SSD를 구형 노트북의 CD슬롯(ODD) 에 탑재해 노트북을 업그레이드 시키는 등 다양한 활용 장치가 있다.
- 단점은 SSD 가 HDD 에 비해 고가 이며, 데이터를 쓰고 지울때 소자가 열화되어 데이터베이스등의 용도로는 수명이 짧다. (r/w 가 빈번하게 발생하는 디스크)
- 메모리칩을 쓰는 방식은 탑재된 컨트롤러 칩에 의존 하고 있기 때문에 고장시 완전한 데이터 복구 방법이 아직 발견 되지 않았다.
@! 내용 추가 중
3. SSD 의 종류
SSD는 시리얼 ATA(SATA)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는 2.5 인치 디스크 형태가 많다. 그 때문에 같은 플래시 메모리로 된 내부 구조라도 USB 인터페이스를 사용한 것을 관례로 USB 메모리라고 한다.
SSD (ATA / Serial ATA)
M.2 SSD (PCIe)
M.2 NAMe
[M.2 (SSD & NVMe) ]

4. 기타
Starting with kernel 2.4 (in January 2001), hotplugging became a standard feature of GNU/Linux. It's been backported to kernel 2.2 (for USB), and kernel 2.6 makes it available to all sysfs-adapted busses and driver classes.
Hot-Swap
PC, server 등의 기계가 사용중 일때, 시스템을 중단하지 않고 주변 기기를 추가 하거나, 제거 가능.
USB, 마우스, 키보드, 프린터 또는 휴대용 하드 드라이브
컴퓨터와 같은 기기의 구성 요소를 컴퓨터가 동작하는 도중에 제거하고 바꾸는 기능이다. 올바른 소프트웨어가 컴퓨터에 설치되어 있으면 사용자는 다시 시동을 하지 않고 구성 요소를 꽂았다가 뺄 수 있다. 이 기능의 잘 알려진 예로 USB를 들 수 있으며, 마우스, 키보드, 프린터와 같은 주변 기기를 추가하고 제거할 수 있다.
Hot-Plug
메인보드에서 이를 지원해야 한다는 것인데, 대개 BIOS상에 AHCI 선택 메뉴가 있는 보드면 가능하고, BIOS 로 진입하여 AHCI 모드를 선택하면 된다.
운영체제에 Hot Plug를 위한 장치 드라이버(대체적으로 AHCI 드라이버)가 자체 내장되어 있어야 한다는 점인데, 운영체제에 내장된 드라이버가 없다면 메인보드 제조사 등에서 제공하는 장치 드라이버(AHCI 드라이버)를 별도로 설치하면 된다.
핫 스와핑은 구성 요소의 교체를 포함하지만 핫 플러깅은 시스템을 확장하는 구성 요소의 추가이다.
##0215
@@ RGB @@ DVI @@ HDMI @@ Cable
1. RGB {Red Green Blue(가산 혼합)} / VGA (Video Graphics Array) / D-SUB {D-subminiature (디서브, 디섭)}
- Analog 방식의 computer display 표준
- RS 232 시리얼 9pin (DE-9) 시리얼 병렬 25핀(DB-25) 또한 D-SUB의 일종
- 3 by 5 (15pin)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VGA-15pin Type]



2. DVI (Digital visual Interface)
## DVI 커넥터 PIN 3 by 8 Matrix (3X8)
[Pin01][Pin02][Pin03][Pin04][Pin05][Pin06][Pin07][Pin08] [Analog_1] [Analog_2]
[Pin09][Pin10][Pin11][Pin12][Pin13][Pin14][Pin15][Pin16] ----
[Pin17][Pin18][Pin19][Pin20][Pin21][Pin22][Pin23][Pin24] [Analog_3] [Analog_4]
1) DVI-A 규격 케이블 (DVI-RGB Cable / DVI-Analog)
- RGB 호환용 DVI Cable / Analog Signal
- DVI를 가장한 RGB 케이블, 성능은 RGB Cable / RGB Cable 에서 DVI Adapter를 달아 준 개념.
- Graphic card : Monitor = DVI : RGB
- 단자가 다르기 때문에 구분을 위해 색상이 다른 경우가 많다. (한쪽은 하얀색, 다른 한쪽은 파란색)
- DVI Adapter 모양은 가운데 핀이 없음.

1 1 0 0 0 1 1 1 1 1
0 0 0 0 0 1 1 1 --
1 1 0 0 0 0 1 1 1 1
[DVI-A Type]
2) DVI-D 규격 케이블 (DVI / DVI-Digital)
- Digital 연결용 Cable / Digital Signal
- 2가지 Type이 있으며, Single_link 와 Dual_link로 나눈다.
- 그래픽카드의 지원하는 해상도에 차이가 있으며, 아래에는 평균적인 지원 해상도 이다.
- 30인치 모니터 부터는 Dual_link cable 을 사용하면 된다. / 그 이하에서는 Single_link Cable 을 사용하면 된다.

a) DVI-D_Single / 1920 * 1080 이하 해상도(최대 해상도)
1 1 1 0 0 1 1 1 0 0
1 1 1 0 0 1 1 1 --
1 1 1 0 0 1 1 1 0 0
[DVI-D Single Type]
b) DVI-D_Dual / 2560 * 1600 이하 해상도(최대 해상도)
1 1 1 1 1 1 1 1 0 0
1 1 1 1 1 1 1 1 --
1 1 1 1 1 1 1 1 0 0
[DVI-D Dual Type]
3) DVI-I 규격 케이블 (Integrated, For both analog and digital) / *****
- DVI-A(DVI-Analog) 와 DVI-D(DVI-Digital) 통합 Cable
- 2가지 Type이 있으며, Single_link 와 Dual_link로 나눈다.

a) DVI-I_Single / 1920 * 1080 이하 해상도 (최대 해상도)
1 1 1 0 0 1 1 1 1 1
1 1 1 0 0 1 1 1 --
1 1 1 0 0 1 1 1 1 1
[DVI-I Single]
b) DVI-I_Dual / 2560 * 1600 이하 해상도 (최대 해상도)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
1 1 1 1 1 1 1 1 1 1
[DVI-I Dual]
3. HDMI ( 학습 예정 ) / 오디오 신호도 함께 전송 한다는 점만 알고 있음. /
- 영상 케이블 종류가 많아 3가지 종류만 공부 할 예정 (RGB(VGA), DVI, HDMI)
4. 기타 / Gender Converter (젠더, 컨버터)
Analog Signal(VGA/RGB/D-SUB) -> Digital Signal(DVI)
a) Converter (컨버터) : 변환기를 뜻함 / RGB to DVI-D,DVI-I Converter : 신호를 변환해주는 변환기를 컨버터라고 한다.
- 단자 규격 자체를 바꿔주는 것
b) Gender (젠더) : VGA to DVI-A Gender와 같이 포트 모양만 바꾸는 것을 젠더라고 한다.
- 동일 규격 단자의 암수만 바꿔주는 것